본문 바로가기

항해99

06.20 항해99 14일차

이번주 배운것 및 노트 :

더보기

알고리즘 풀이에 매진했던 둘째주...

알고리즘 문제에 생각보다 수학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배웠?다..

거기에 더불어 주특기 상담을 통해 앞으로 해나가야할 방향성을 좀 더 고민하게 되었다......

난 몰 하고 싶은걸까

 


Pop

n = int(input())

n = int(sys.stdin.readline())

 

2줄짜리도 1줄로 절약…

 

pop은 빼고 옮겨지느라 시간이 걸림.

deque의 존재 << 

 
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
 

Duque.clear()

 

  • deque.append(item): item을 데크의 오른쪽 끝에 삽입한다.
  • deque.appendleft(item): item을 데크의 왼쪽 끝에 삽입한다.
  • deque.pop(): 데크의 오른쪽 끝 엘리먼트를 가져오는 동시에 데크에서 삭제한다.
  • deque.popleft(): 데크의 왼쪽 끝 엘리먼트를 가져오는 동시에 데크에서 삭제한다.
  • deque.extend(array): 주어진 배열(array)을 순환하면서 데크의 오른쪽에 추가한다.
  • deque.extendleft(array): 주어진 배열(array)을 순환하면서 데크의 왼쪽에 추가한다.
  • deque.remove(item): item을 데크에서 찾아 삭제한다.
  • deque.rotate(num): 데크를 num만큼 회전한다(양수면 오른쪽, 음수면 왼쪽).
  • Duque.reverse() : 내용 반전
  •  
  •  
  • 튜플 - 항목 값이 변화 X

느낀것 :

더보기

코딩을 배우기 위해 수학을 배우는 걸 보면 역시 모든 건 만류귀종이라고 해야할지....

사실 두뇌 퍼즐처럼 생각하고 봤었는데 진도가 지지부진해지니 끈기가 사라지는게 문제라고 해야할지..

내 스스로가 다잡아야겠지만 화이팅.

내게 아쉬웠던 것 : 

더보기

재미가 떨어져도 붙잡자. 갈 길이 멀다 김유진.

'항해99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6.27 항해99 21일차  (0) 2021.06.28
06.25 항해99 19일차  (0) 2021.06.25
06.15 항해99 9일차  (0) 2021.06.16
06.14 항해99 8일차  (0) 2021.06.15
06.13 항해99 7일차  (0) 2021.06.14